‘개혁기 중국의 도시화 경험’, 「역사비평」115호, 2016 여름, : pp.77∼104,역사비평사(서울) |
‘중국의 토지정책 변천과정과 통일한국에 주는 시사점’, 「부동산포커스」Vol.88: pp.31∼43,KAB부동산연구원(대구) |
“중국의 신형도시화 배경과 도시정책 동향”, 「World & Cities: 세계와 도시」Vol.10, p.44∼51,서울연구원(서울) |
‘중국 특색 농촌문제의 연원과 신형 도시화’, 「성균차이나브리프」통권 32호: pp.139∼145,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성균중국연구소(서울) |
‘중국 쓰촨성 청두시의 도농통합정책 실험’, 「지역과 발전」통권 11호: pp.39∼41,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(서울) |
‘고대 중국의 토지국유제 쇠락과 사유권 확장 과정 고찰’, 「한중사회과학연구」제9권 2호(통권 20호): pp.225∼244,한중사회과학학회(서울) |
‘중국의 도시화 특성과 국토공간구조 형성동향 고찰’, 「서울도시연구」제11권 제2호, pp.1∼13, 서울시정개발연구원 |
‘개혁개방 이전 중국의 토지개혁경험 연구-농촌토지소유제 관계를 중심으로’, 「인문논총」제25집, pp.237∼264,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|
‘韩国区域均衡政策经验及其对中国的启示-以迁都论争为中心’, 「한중사회과학연구」 제8권 1호(통권 16호): p.267∼279,한중사회과학학회(서울) |
‘체제전환기 중국 도시계획의 성격과 역할 고찰’, 「한중사회과학연구」제7권 3호(통권 15호): pp.311∼329,한중사회과학학회(서울) |
‘중국 서북부지역의 퇴경환림환초정책 고찰’,「국토연구」 제55권,pp.203∼216,국토연구원 |
‘북한 경제특구 자금조달 수단으로서 REITs의 활용에 관한 연구 : 개성공업지구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’, 「국토계획」 제55권 2호, pp. 111~123,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(서울) |
‘토지자산 비율을 활용한 경제특구 토지임차료의 산정 가능성’, ‘북한 주요 도시의 토지자산 규모와 대북 비즈니스 시사점’ 발표자료, 북한개발연구소, 2021년 4월. |